경제상식
-
[안전수필] 억울하면 출세하라는 말은 정말 사라져야할 무서운 말이다 <장하준의 모두를 위한 경제학 강의 후기>3.안전정보의 나비효과/② safety idea 2017. 2. 20. 00:00
내가 듣기 싫어하는 여러가지 말 들 중에 한 가지만 말해볼까 한다. 바로 "억울하면 출세하라" 이말이다.이 말 속에는 출세를 하면 억울한 것들이 사라질 것이라는 논리가 전제되어 있다.억울함이란 무엇인가?정정당당하지 못해 피해를 입는 것이다. 누구는 일을 많이 하고도 1의 수당을 받는다고 하면다른 누군가는 일을 적게 하고도 9의 수당을 받는다. 전자는 하위 직급이고, 후자는 상위 직급이니당연하다고 생각한다.그러나 이것은 아담스미스나 고전경제학파의 논리에 길들여진 사람들의 생각이다.조직을 계급의 집합체로만 보기 때문에 위로 갈수록 고수익은 당연하다고 보는것이다. 그리고 위로 갈수록 두뇌역할을 하므로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고수익을 보장해주어야하고아래로 갈수록 손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언제든지 대체가능한 인력..
-
[횡설수설 Economics] 15회 - 경제고통지수1.경제경영의 나비효과/① 경제경영 공부 2014. 3. 26. 22:05
[횡설수설 Economics] 15회 - 경제고통지수 15회 - 경제고통지수 저도 이 말은 처음 들어봤습니다.뉘앙스가 장난으로 그냥 만들어낸거 같기도 하구요. 그런데 이것은 국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경제적 어려움을 객관적인 수치로 보여주는 것이라네요 :) 경제고통지수 = 물가상승률 + 실업률 그런데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은 얼마든지 눈가리고 아웅 할 수 있다고 하네요. 예를 들어 물가상승률 산정 품목을 조금만 바꾸면(예 : 원자재 제외)실제 물가는 올랐어도 물가상승률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날 수도 있고대학에서 군대,알바 이런거까지 취업으로 둔갑시켜서실업률 감소를 말 할 수도 있다네요. 참 기가 막히죠? 언론이나 정부에서 분석한 통계자료가 100%로 맞는 것이 아닙니다.그래서 스스로 경제적 분석력을 키워야 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