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
-
[소방전기] 화재수신기 회로도통시험에 대해 알아보자3.안전정보의 나비효과/① safety information 2017. 3. 27. 00:00
자동화재탐지설비에서 수신기는 사람의 두뇌와도 같습니다. 화재신호를 전달받아서 소방설비의 경보활동 및 소화활동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수신기에 화재신호를 전달해주는 것에는 발신기 및 감지기 등이 있는데,평상시에는 감지기와 수신기간에 전류가 흐르지 않다가화재시 감지기에서 전류가 흘러 수신기로 전달합니다. 이렇게 감지기와 수신기간에 전류가 잘 통하는지 점검하는 것을회로도통시험이라고 합니다.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수신기에서 도통시험 버튼을 누르고 각 화재경계구역을 선택해주면정상 또는 단선 유무를 점등으로 표시되기 때문이지요. 반면 회로도통시험 정상여부가점등 표시가 아닌 전압계 바늘로 표시로 되는 수신기도 있는데이 바늘로 봤을 때는 보통 4v ~ 8v로(또는 2v ~ 6v) 표시가 되어야 정상입니다...
-
[안전수필] 스프링클러의 한계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3.안전정보의 나비효과/② safety idea 2017. 2. 27. 00:00
2016년 11월 발생한 대구 서문시장 화재사건을 기억하실겁니다.뉴스에서 지적한 스프링클러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1. 과다한 상품 적재2. 작동 20분만에 스프링클러 물탱크 바닥3. 설치 간격이 넓어 초기 진화 한계 그리고 결론은 강화된 법적 기준이 필요하다는 결론으로 뉴스는 끝이 납니다.그런데 뉴스에서 지적한 사항들을 토대로 법적 강화가 이루어진다면 과연 어떻게 강화될 것인가 한번 생각해봤습니다. 첫째, 시장내부에 일정 수준 이상의 물품 적재 금지법 시행둘째, 시장내부에 설치되는 물탱크 용량 20분 이상 확보방안 시행셋째, 시장에 설치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간격의 기준 강화 시행 이렇게 되면 비용이 만만치 않게 들겠다는 생각이 바로 드는군요.비용이 발생하더라도 법을 강화하는 것만이 과연 최선인가..